-
2023년 한국은행 금통위 (기준금리 결정) 일정과 FOMC의 회의록 공개정보/경제 다이어리 2023. 1. 5. 19:10반응형
안녕하세요, 실버입니다.
오래간만에 경제 탭에 글을 작성합니다. 2023년의 첫 일주일이 중반을 넘어가고 있습니다.
작년에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폭이 상당했지요. 그에 따라 한은의 기준금리도 추격 인상세가 이어졌습니다.FOMC 2022년 12월 회의록이 공개가 되었는데 모든 연준위원들이 올해는 금리 인하 방침이 없다는 것을 공고히 했습니다. 시장에서 흔히 '행복회로'를 돌리던 것과 반대의 결과로 나왔습니다.
시장 일부에선 점점 물가상승률의 상승폭이 줄어드는 것을 근거로 올해 상반기에 금리 인상 기조를 멈추지 않을까 예측을 했습니다만 연준은 일단 인상을 유지한다는 입장입니다. 작년 연말에 공개된 점도표상 5%대로 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러한 연준 회의록에서의 강력한 금리인상 의지는 다음 주에 있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에도 많은 영향을 주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와의 격차를 줄여야 외화, 특히 달러화의 유출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니까요.
2022년, 미 연준 기준금리는 4.50%,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3.25%로 마감했습니다.
다음 주 1월 13일 금요일은 올해 첫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결정되는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가 열립니다.
그 외에도 올해에 한국은행은 금통위 정기 회의를
1월 13일 금요일
2월 23일 목요일
4월 13일 목요일
5월 25일 목요일
7월 13일 목요일
8월 24일 목요일
10월 19일 목요일
11월 30일 목요일
이렇게 올해는 총 8번의 금통위 정기 회의를 진행해 기준금리를 결정하게 됩니다.
미국의 경우는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 인상을 단행한다고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가계대출의 비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미 연준 금리를 추격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대체로 우리나라의 경우 이번 1월 금통위 정기 회의에서 25BP, 0.25% 정도의 인상 예상이 지배적인 분위기입니다.
과연 올해 첫 금통위 회의는 어떻게 진행이 될지 관심이 갑니다.반응형'정보 > 경제 다이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1월 둘째주 - 한은 금통위 0.25% 금리 인상, 12월 미 CPI와 까치랠리와 반도체주 (0) 2023.01.15 2023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할 FOMC 회의 일정 (0) 2023.01.12 2019/01/11 목 경제 다이어리 (0) 2019.01.11 12월 마지막 주 - 2018/12/27/목 경제 다이어리 (0) 2018.12.28 2018/12/21/목 경제 다이어리 (0) 2018.12.21 댓글